카테고리 없음

연차 발생기준 (+1년미만 연차수당 계산방법)

꿀이당 2023. 2. 11.

연차 발생기준 (+1년미만 연차수당 계산방법)

연차휴가는 상시 5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장에서 1년을 계속 근로한 근로자가 근로기준법(근로기준법 제60조)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받게 되는 유급휴가로 1년 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소멸합니다.

✅ 연차수당 계산 👈클릭



1년 미만 신입사원 연차 개수 계산

입사 1년 미만의 신입사원은 입사 1개월당 1일의 연차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2022년 1월에 개근을 하였다면 다음 달 2월에 연차 1개가 생기는 것입니다. 1년 동안 연차를 계산한다면 신입사원이 받을 수 있는 연차 개수는 모두 11개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연차가 발생하는 날짜가 다르더라도 만료되는 날짜는 입사 후 1년으로 같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연차 11일은 입사기준 1년 동안 원하는 수 있습니다.

즉 하루 평균 임금은 시간당 임금 하루 노동 시간입니다. 예를 들자면 하루에 10시간씩 일하고 시간당 받는 금액이 4만원이라면 하루 평균 임금은 40만원입니다.그렇지만 보통 여러분들이 한달에 받는 금액은 저렇게 깔끔하게 떨어지지않기에 계산이 다소 지저분해져서 귀찮을수도 있기에 제가 연차수당을 한번에 계산이 가능한 홈페이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걱정할 필요 없어요.또 회사에 다니는데 일한지 얼마 안되서 저는 연차수당이 없지 않나요? 가끔 이러한 생각을 하여 질문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