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개인사업자 업종코드 조회 방법 간단합니다

꿀이당 2023. 2. 9.

개인사업자 업종코드 조회 방법 간단합니다

국세청 개인사업자 업종코드 조회 방법을 알아봅시다개인사업자의 소득세 감면수단으로 단순사업비율이 높은 업종이 유리첫 사업인 만큼 첫 사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인터넷을 이용한다면 필요한 업종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종코드는 표준경비율 및 간이경비율 적용 및 세원관리를 위하여 국세청에서 업종별로 부여하는 6자리 코드번호입니다. 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의 대분류에 속하며, 항목은 산업 간 분업된 산업을 의미합니다.즉, 업태는 하고자 하는 사업을 판매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이고, 종목은 무엇을 판매하는가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사업자등록 시에는 국세청 업종코드 분류표를 따라야 합니다.한국표준산업분류 업종코드 차이점업종 분류 코드를 찾다보면 두 가지의 서로 다른 코드가 조회될 것입니다통계용으로는 한국표준산업분류이고, 국세행정용으로는 업종분류코드입니다.한국표준산업분류는 기업의 주요 산업활동을 유사도에 따라 분류하기 때문에 통계작성 목적에는 적합하나 행정목적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업종코드 조회 👈클릭



사업자 업종코드/기준경비율 확인

업종 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파일입니다. 2021년 4월 국세청에서 배포된 것입니다산업코드가 표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이라는 명칭으로 유통되는 이유는 사업수익의 직위구분을 나타내는 코드번호로 표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기준경비율 밑 단순경비율은 소득금액 계산과 연관된 비율로 국세청에서 정하는 비율입니다아래의 업종코드 예시파일과 같이 업종코드 확인파일에는 코드번호, 3가지 분류, 단순사업비율, 표준사업비율, 세부예시 및 제외사항 등이 나타나게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엑셀 파일을 열어서 확인해 보니 다행히 해당 코드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제목에도 나와 있듯이 단순히 국세청 홈택스로만 조회를 할 것이 아니라 아래 첨부한 엑셀 파일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는 간혹 조회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분명 종합소득세 신고 할 때는 940306(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 코드를 넣었는데 홈택스 검색결과엔 나타나게가 안됐습니다.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