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홈택스로 사업자등록증 업종코드 조회하기

꿀이당 2023. 2. 8.

홈택스로 사업자등록증 업종코드 조회하기

국세청이 유튜버를 위한 산업코드를 마련한 모양입니다. 직장인이다보니 이러한게 있는 줄도 몰랐습니다. 한국은 지금 새벽2시를 향해가는 시간이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나보다.서비스 이용시간이 아니란다.

✅ 업종코드 조회 👈클릭



업종코드목록 중 해당 업종 선택

홈택스에서 쇼핑몰이라는 키워드로 업종코드를 조회했더니 3개의 업종코드 목록이 등장합니다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오픈을 원하시면 최근 3개 전자상거래 소매업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꼭 네이버 스토어 업종코드 뿐만 아니라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온라인 쇼핑몰을 만들거나 11번가, G마켓에서 물건을 팔고 싶으실 때도 같은 것을 선택하시면 됩니다.단, 인스타그램이나 네이버 블로그에서 물건을 판매하실 때는 SNS (대문자)로 업종에 키워드를 넣어 검색하셔서 나오는 업종코드를 선택해야 합니다. 네이버 스토어와 업종코드가 다르다는 점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오픈을 원하시면 과거 3개 전자상거래 소매업을 선택하시면 됩니다.네이버 스토어 비즈니스 코드와 함께 홈페이지를 만들어 온라인 쇼핑 갤러리를 만들거나 11번가나 G마켓에서 상품을 판매하고 싶다면 똑같이 선택하실수 있습니다.업종코드목록 중 해당 업종 선택 홈택스에서 쇼핑센터라는 키워드로 업종코드를 검색하니 업종코드 3개가 떴다. 네이버스토어와 사업자코드가 다르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업종코드 조회 👈클릭



한국표준산업분류 업종코드 차이점

산업 분류 코드를 찾을 때 두 개의 서로 다른 코드가 나타나게됩니다.통계 작성 목적의 한국 표준 산업 분류, 또 국세 행정 목적의 업종 분류 코드입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는 사업체의 주요 산업활동을 유사도에 따라 분류한 것이기 때문에 통계작성 목적에 부합그렇지만, 행정목적에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한편 통계청 업종분류코드는 과세목적이므로 코드에 따라 세율이 다르게 책정됩니다.그러므로 사업자 등록 시에는 국세청 업종 코드 분류표를 따라야 합니다.

그런데 제목에도 나와 있듯이 단순히 국세청 홈택스로만 조회를 할 것이 아니라 아래 첨부한 엑셀 파일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는 간혹 조회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분명 종합소득세 신고 할 때는 940306(1인미디어콘텐츠창작자) 코드를 넣었는데 홈택스 검색결과엔 나타나게가 안됐습니다. 그래서 엑셀 파일을 열어서 확인해 보니 다행히 해당 코드가 있었습니다.

 

 

댓글

💲 추천 글